본 연구는 경기변동과 자영농 규모 간의 인과관계를 시계열 자료(1990년 1월~2020년 7월)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에는 선행종합지수(경기변동의 대리변수), 자영농 증가율, 비농업 부문(제조업, 건설업,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취업자 증가율의 3개 내생변수로 구성된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경기침체 시 비농업 부문 취업자(주로 제조업과 건설업의 임금근로자)가 자영농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나, 농업 부문의 고용충격 완화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농업 부문에서의 이러한 효과는 충격 발생 후 초기 수개월에 주로 집중되며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는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fluctuations and changes in the number of self-employed farmers in Korea, using the time-series data from January 1990 to July 2020. To achieve its goal, it uses the Vector Error-Correction Model (VECM) with three endogenous variables, including (1) the Composite Leading Indicator (CLI) as a proxy variable for economic fluctuations, the increase rate of self-employed farmers, and (3) the increase rate of the employed in non-agricultural industries. Our empirical results confirm the substantial inflow of workers from non-agricultural sectors (mostly wage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industries) to agriculture in recession, implying that the agricultural sector partially absorbs employment shock hit by recession. However, as indicated by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this unemployment-alleviating effect of agriculture is short-lasting, as its impact is primarily noteworthy in several months after the shock.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분석 방법 및 분석 자료
4. 분석 결과
5. 결론
서지인용
page. 1 - 21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주제어
경기변동; 선행종합지수; 자영농; 비농업 부문 취업자; 벡터오차수정모형; economic fluctuations; composite leading indicator; self-employed farmers; non-agricultural labor; vector error-correction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