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농산물 물가는 비교적 안정적인 추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가공식품 물가는 작년에 이어 최근까지 상승세가 지속 심화되는 양상• 농산물 물가는 2020년 3분기부터 급등하기 시작하여 2021년 1분기에 최고점에 도달한 이후 하향 안정세가 2022년 2분기 까지 지속됨.• 가공식품 소비자물가는 2021년 3분기에 2.2%까지 상승한 이후 급등추이가 이어져 2022년 2분기는 7.6%까지 확대됨.우크라이나 전쟁 영향으로 상승한 국제곡물 가격이 반영되는 하반기에도 곡물 수입물가 및 가공식품 물가 상승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가공식품 물가는 수입곡물 가공품인 식품소재와 이의 2차 가공품을 중심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 국제곡물 가격 상승이 국내 가공식품 물가상승의 주요인인 것으로 분석됨.• 국제곡물 가격의 국내 수입물가 반영은 3~6개월 소요되며 수입물가의 소비자물가 반영도 일정 시간이 소요됨. 국제 원재료 가격 상승에 따른 누적 식품물가 파급영향은 여타 요인의 영향에 비해 크며, 제분, 제당, 배합사료, 전분 및 당류 순으로 가공식품 물가상승 가공식품 기여율이 큰 것으로 분석됨.• 2022년 1분기 국제 원재료 가격이 2년 전인 2020년 1분기 대비 추가로 45∼56% 상승함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가공식품 물가는 업종·부류별로 약 2.0∼21.8%의 상승 요인이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됨.• 이러한 상승 요인은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가공식품 물가상승 요인보다 큰 수준임.글로벌 공급망 위기, 기후변화 등으로 향후 국제곡물 시장의 위기는 더욱 빈번해질 것으로 전망되며 국제곡물 시장 위기는 국내 가공식품 산업의 생산활동 및 물가 영향이 매우 크므로 근본적인 대책이 요구됨.• 산업계에서는 원재료 수급 및 물가 여건이 가장 중요한 이슈라고 응답하며, 정부의 지속적인 대응 노력을 촉구하고 있음.• 정부는 2022년 5월 긴급 민생안정 10대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소비자들이 주로 구매하는 식품에 대해 할당 관세를 한시적 으로 인하 또는 면제하는 등 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현재의 위기 극복을 위한 정책에 더하여 중장기적인 시각에서 국제곡물 위기 대응 수단 마련을 위한 정책 개발 및 수행 필요
목차
1. 식품 물가와 원재료 가격 동향2. 국제 원재료 가격 상승에 따른 국내 가공식품 물가 파급영향3. 대응과 시사점부록 식품산업 원료별 구입액 비중과 생산자물가 상승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