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농자재 가격 동향과 시사점

저자
서대석서동주김부영
출판년도
2022-09-19
초록
’20년 중반 이후 원유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 급상승은 글로벌 요인이 주원인으로 국제 정세 완화 이후에도 당분간 원유 및 원자재 가격의 강세가 지속될 가능성• 국제 유가, 곡물 가격에 환율까지 상승함에 따라 국내 농산업을 비롯한 제조업 원가 부담 가중•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은 글로벌 요인과 국제 정세에 따른 요인이 주원인으로 국제 정세 완화 이후에도 당분간 가격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무기질 비료 전체 소비량은 감소하나, 단위 면적당 사용량은 정체, 원자재 가격은 수출 제한 조치 등으로 당분간 강세 • 무기질 비료 소비량은 연평균 2% 감소, 사용량은 27.5kg/10a 내외 수준• 무기질 비료 수요는 매우 비탄력적으로 국내 수급 안정이 필요하며, 비료 원자재 수출국의 수출 제한 조치와 국제 곡물과 원자재 가격 강세 전망에 따라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무기질 비료 원자재의 가격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선제적 대응 노력이 필요농약 사용량은 감소 추세, 살충제와 독일산 원제 수입단가는 상승 추세• 농약 생산·출하량은 2000년대 초 이후 감소세, 최근 기상 변화와 병충해에 따라 사용량 등락이 있으나 사용량은 정체 수준• 비교적 안정적이던 농약 가격이 ’22년 1월 이후 상승세, 살충제와 독일산 원제 수입단가는 크게 상승 추세 비료와 농약 가격 상승에 따른 농산물 가격 상승 유인은 미미하여 주요 경종작물 소득은 다소 감소할 전망• ’22년 상반기 재료비의 구입가격지수는 작년 대비 27.6% 상승, 경영비는 8% 상승하나, 농산물 가격에 반영은 미미할 전망• ’23년 이후 비료와 농약 가격이 지속 상승할 경우, 주요 경종작물 소득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글로벌 요인에 따른 국제 원자재와 환율 강세 지속 시 주요 농자재의 원자재 안정적 공급 지원과 수요 관리 방안 마련 필요• 국제 비료 원자재 및 곡물 수급과 수출국의 수출 제한 조치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 • 원자재 수급 안정을 위한 ‘무기질 비료 원료 구입 자금 지원’ 사업, 요소에 대한 할당관세와 일시적으로 농가 인상분 지원사업 등 정부지원 사업을 지속할 필요• 효율적 비료 사용 및 적정량 시비 등 수요 관리 방안 마련 필요
목차
1. 국제 원자재·곡물 가격 변동과 요인 분석2. 주요 농자재 수급 및 가격 동향3. 영농형태별 농업경영비 및 농업소득 영향 분석4. 요약 및 시사점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발간물 유형
KREI 이슈리포트
URI
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9001
Appears in Collections:
이슈페이퍼 > 현안분석 (J2)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Files in This Item:
PRI091.pdf (1.21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