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이두영 | - |
dc.contributor.other | 김상현 | - |
dc.contributor.other | 김종진 | - |
dc.contributor.other | 임영아 | - |
dc.contributor.other | 홍연아 | - |
dc.contributor.other | 김범석 | - |
dc.date.accessioned | 2023-05-22T16:40:01Z | - |
dc.date.available | 2023-05-22T16:40:01Z | - |
dc.date.issued | 2022-11-30 | - |
dc.identifier.other | C2022-44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9870 | - |
dc.description.abstract | 이 연구는 OECD 농업위원회와 산하 글로벌 농업포럼, 농정시장작업반, 농업무역공동작업반, 농업환경공동작업반 논의 의제와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OECD 농식품 분야 논의의 이론적 분석 및 정책 시사점 도출을 위해 정부, 학계, 연구계 전문가들의 의제별 공동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보고서는 발주처가 있는 보고서로 원문공개에 제한이 있습니다. 원문은 발주처인 <a href="https://lib.mafra.go.kr/Search/Detail/51984" target="_blank"><b><u>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바로가기)</u></b></a>에서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 론 제2장 농업위원회 회의 논의 대응 제3장 농업정책시장작업반 회의 논의 대응 제4장 농업무역공동작업반 회의 논의 대응 제5장 농업환경공동작업반 회의 논의 대응 제6장 2022년 특별 포럼 및 회의 결과 제7장 주요 정책이슈 심층분석 제8장 결 론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OECD 농식품 분야 국제기구 업무 대응 | - |
dc.type | KREI 보고서 | - |
dc.embargo.liftdate | 9999-12-31 | - |
dc.subject.keyword | OECD | - |
dc.subject.keyword | OECD | - |
dc.relation.isPartOf | 2022년 OECD 농식품 분야 국제기구 업무 대응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