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정학균 | - |
dc.contributor.other | 유찬희 | - |
dc.contributor.other | 채광석 | - |
dc.contributor.other | 최재현 | - |
dc.contributor.other | 임준혁 | - |
dc.date.accessioned | 2023-09-01T16:40:00Z | - |
dc.date.available | 2023-09-01T16:40:00Z | - |
dc.date.issued | 2023-09-01 | - |
dc.identifier.other | PRP003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30143 | - |
dc.description.abstract | 영농형 태양광 설치 시 전력 판매 가격, 금리 등 시장위험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 필요 • 한국형 FIT 종료에 따른 소형 발전사업자 경제적 혜택 축소 • 현행 농지법하에서는 영농형 태양광 사업은 경제성 부족 • 농지법 시행령 개정으로 타용도 일시사용허가 기간을 20년 이상 허용하면 경제성은 있으나, 여전히 시장 조건 등이 변수 • 농업인 역시 초기 투자 비용, 장기 시장조건 변동 등을 고려하여 신중한 의사결정 필요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영농형 태양광 현황 2. 시나리오별 경제성 분석 3. 시사점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한국형 소형태양광 고정가격계약 매입제도 일몰! 영농형 태양광 사업의 미래는? | - |
dc.type | KREI 이슈리포트 | - |
dc.subject.keyword | 소형태양광 | - |
dc.subject.keyword | 영농형 태양광 | - |
PRP003.pdf
결과 데이터 / 1.4 M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