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홍연아 | - |
dc.contributor.other | 송성환 | - |
dc.contributor.other | 김동휘 | - |
dc.contributor.other | 김병률 | - |
dc.date.accessioned | 2023-11-15T16:40:00Z | - |
dc.date.available | 2023-11-15T16:40:00Z | - |
dc.date.issued | 2023-11-15 | - |
dc.identifier.other | PRP008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30502 | - |
dc.description.abstract | 디지털 유통 시대를 맞아 급변하는 유통 환경에 적응하고 소비자의 새로운 니즈에 부응하는 농식품 마케팅 전략으로 ‘라이브커머스’ 활용 필요 • 실시간으로 제품 구매와 진행자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라이브커머스가 유통 트렌드에 부응한 새로운 농식품 판매 마케팅 수단으로써 정착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라이브커머스는 매출 증대, 고객과의 양방향 소통을 통한 밀접한 관계 형성 등 폭넓은 기회를 제공하고, 농가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됨. • 라이브커머스를 통한 국내·외적 농식품 판매 신장이 전망되는 만큼 기획·판매 장려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책 확보 등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함.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라이브커머스 시장과 이용자 특성 2. 라이브커머스를 통한 농식품 판매와 기회 3. 전망과 시사점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신 농식품 마케팅 전략 : 라이브커머스 | - |
dc.type | KREI 이슈리포트 | - |
dc.subject.keyword | 농식품 마케팅 | - |
dc.subject.keyword | 라이브커머스 | - |
PRP008.pdf
결과 데이터 / 1.27 M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