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 (5/10차년도)

영문 제목
A Panel Survey for Rural Villages (Year 5 of 10)
저자
한이철;  김광선;  민경찬;  나현수
출판년도
2024-12-30
초록
농산어촌의 변화는 가장 작은 공간 단위인 마을에서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마을을 연구하는 일은 우리나라 농산어촌의 변화를 이해하고 적절한 정책을 수립하는 데 필수적이다. 농산어촌이 미래에 어떤 역할을 할지 전망하려면 단순히 인구와 가구 변화 지표만 분석해서는 부족하고, 마을에서의 주민의 활동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농산어촌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대응하기 위한 데이터는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103개 농산어촌 마을을 패널로 선정하여 연도별 변화 조사를 통해 농산어촌의 변화 현상과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정책의 근거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Purpose of Research
○South Korea’s rural areas are undergoing diverse changes compared to the past. While migration from rural to urban areas(‘migration to cities’) was predominant previously, some regions are now experiencing urbanization and population influx. However, significant regional disparities persist. Some rural areas see population growth due to the influx of individuals returning to farming or rural living, whereas others face population decline and extinction risks. Despite developments in various industries and economic activities, concerns about rural extinction remain prevalent. Thus, detailed research focused on the smallest unit of rural communities—villages—is necessary to develop evidence-based policies.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산어촌 마을 연구 및 정책 동향
제3장 농산어촌 마을 특성 변화
제4장 농산어촌 유형별 마을과 주민 변화
제5장 연구 요약 및 정책 과제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과제명
농산어촌 마을 패널 조사 사업(10의5차년도)
주제어
농산어촌; 마을 패널; 패널조사; 마을
발간물 유형
KREI 보고서
보고서 번호
R2024-18
URI
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31651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 (R)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