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상효 (isni=0000000027634004) | - |
dc.contributor.other | 박주연 | - |
dc.contributor.other | 김형진 | - |
dc.contributor.other | 김서영 | - |
dc.date.accessioned | 2025-06-12T16:40:00Z | - |
dc.date.available | 2025-06-12T16:40:00Z | - |
dc.date.issued | 2025-06-12 | - |
dc.identifier.other | PRP036 | -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31991 | - |
dc.description.abstract | 영남 지역 대형 산불로 인한 농업 부문 피해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대형 산불 재난 시 농업의 특성을 고려한 지원체계 개선 필요 • 최근 대형 산불이 전국화되고 있으며, 2025년 3월 발생한 영남 지역의 산불 역시 대형 산불로 농업 전후방에 큰 영향을 미침. • 산불 피해를 입은 5개 시군은 모두 사과 주산지로, 사과 공급량 변동이 예상되었으나 단수 증가로 그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임. 다만, 농업 생산시설 및 농기계, 과수에 영향을 미치는 양봉업의 피해는 주목할 필요가 있음. • 중앙정부 및 지자체는 농업 부문 피해의 신속한 복구와 과수 수급 영향 최소화를 위해 노력 중이나, 산불 재해·재난에 대응하는 농업 부문 지원체계의 개선과 예방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됨.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산불 피해 현황 2. 정부 대응 현황 3. 향후 과제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2025 영남 지역 산불 피해와 농업 부문 대응 과제 | - |
dc.type | KREI 이슈리포트 | - |
PRP036.pdf
결과 데이터 / 634.91 k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