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세계 식료수급의 동향과 전망

저자
성명환
출판년도
2000-10-11
목차
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EN">
세계 식료 수급 동향과 전망

1. 곡물 수급 동향 및 전망
1.1. 전체 곡물
2000/01년도 세계 옥수수의 생산량은 1999/00년도보다
약간 늘어날 전망이지만 쌀과 소맥의 생산량이 줄어들어 세계 전체 곡물 생산량은
전년 대비 0.2% 감소한 18억 6,234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00/01년도 총공급량은
기말재고량 3억 5,756만 톤과 생산량을 합쳐 전년보다 약간 감소한 22억 1,990만
톤 수준으로 전망된다.
2000/01년도 총공급량은 전년이월량 3억 5,756만
톤과 생산량을 합쳐 22억 1,990만 톤 수준으로 전망되어 전년보다는 약간 감소한
수준이다.
2000/01년도 세계곡물 소비량은 전년보다 0.4% 늘어난
18억 8,301만 톤으로 전망된다. 반면 세계 곡물 교역량은 전년 대비 0.1% 줄어든
2억 6,646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교역량이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3%가
될 전망이다.
곡물 소비량이 생산량을 약 2,067만 톤 정도 초과할
전망이어서 2000/01년도 기말재고량은 전년 대비 5.8% 감소한 3억 3,689만 톤으로
줄어들고 전체 곡물 재고율도 17.9%로 내려갈 전망인데, 이는 1999/00년도 재고율보다
약 1.2% 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표 1 세계 전체 곡물의 수급동향
단위:백만톤
구 분
1998/99
1999/00
(추정)
2000/01 (전망)
변동율(%)
2000. 8
2000. 9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1,872.29
1,865.89
1,868.90
1,862.34
0.2
△ 0.4
공 급 량
2,213.67
2,233.48
2,226.32
2,219.90
△ 0.6
△ 0.3
소 비 량
1,864.09
1,875.92
1,882.56
1,883.01
0.4
0.0
교 역 량
257.22
266.86
265.71
266.46
△ 0.1
0.3
기말재고량
367.58
357.56
343.76
336.89
△ 5.8
△ 2.0
재고율(%)
19.7
19.1
18.3
17.9
자료: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66, 2000. 9

1.2. 쌀
2000/01년도 쌀 생산량은 1999/00년도보다 550만
톤 정도 줄어든 약 4억 톤 수준으로 내려갈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쌀 생산량은
전년 대비 6.4% 감소한 604만 톤, 중국도 1.8% 감소한 1억 3,650만 톤으로 전망된다.
2000/01년도 쌀 소비량은 전년 대비 0.4% 늘어난
4억 124만 톤으로 전년보다 145만 톤 정도 늘어날 전망이다.
2000/01년도 세계 전체 쌀 교역량(수출량 기준)은
전년 대비 6.9% 늘어난 2,491만 톤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생산량에서 교역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6.3%로 전망된다.
2000/01년도에는 생산량은 감소하고 소비량이 늘어날
전망이어서 세계 쌀 기말재고량은 전년 대비 6.0%가 줄어든 5,935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재고율도 14.8% 수준으로 하락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의
재고량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표 2 국제 쌀 수급 동향
단위 : 백만톤
1998/99
1999/00
(추정)
2000/01 (전망)
변동율(%)
2000. 8
2000. 9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393.94
402.90
398.09
397.46
△ 1.4
△ 0.2
소 비 량
388.69
399.79
401.04
401.24
0.4
0.0
교 역 량
26.89
23.31
25.02
24.91
6.9
△ 0.4
기말재고량
60.03
63.13
60.60
59.35
△ 6.0
△ 2.1
재고율(%)
15.4
15.8
15.1
14.8
자료: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66, 2000. 9

1.3. 소맥
세계 밀 생산량은 1999/00년 5억 8,593만 톤에서
2000/01년에는 전년 대비 0.5% 감소한 5억 8,315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럽과
러시아의 생산량은 증가할 전망이나 중국,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등 주요 소맥
생산국의 생산량은 줄어들 전망이기 때문이다.
2000/01년도 세계 밀 소비량은 1999/00년 5억 9,571만
톤에서 0.2% 늘어난 5억 9,667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밀의 국제 교역량은 1998/99년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1억 2,291만 톤으로 감소하였다가 1999/00년 1억 2,872만 톤으로
늘어났으나, 2000/01년에 다시 전년보다 1.0% 줄어든 1억 2,746만 톤 수준이 되고,
생산량에 대한 교역량의 비율은 21.9%가 될 전망이다.
1999/00년도 기말재고량은 1억 2,711만 톤으로 추정되나,
2000/01년에는 생산량 감소로 소비량 증가로 전년 대비 10.6% 감소한 1억 1,360만
톤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중국의 재고량이 대폭 줄어들고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등의 재고량도 줄어들어, 기말재고율도 19%대로 떨어질 전망이다.
표 3 국제 소맥 수급 동향
단위 : 백만톤
1998/99
1999/00
(추정)
2000/01 (전망)
변동율(%)
2000. 8
2000. 9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588.56
585.93
581.30
583.15
△ 0.5
0.3
소 비 량
590.38
595.71
594.42
596.67
0.2
0.4
교 역 량
122.91
128.72
127.05
127.46
△ 1.0
0.3
기말재고량
136.90
127.11
113.33
113.60
△ 10.6
0.2
재고율(%)
23.2
21.3
19.1
19.0
자료: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66, Sep. 12, 2000.

1.4. 옥수수
2000/01년도 세계 옥수수 생산량은 전년 대비 0.3%
늘어난 6억 717만 톤으로 사상최고치를 갱신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중국을 제외한
미국, 유럽, 아르헨티나 등 주요 옥수수 생산국의 생산증가가 전망되기 때문이다.
2000/01년의 소비량은 전년 대비 1.1% 늘어난 6억
742만 톤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옥수수의 교역량은 전년보다 1.6% 줄어든 7,896만
톤으로 전망되며,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3.0%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옥수수 교역 비중이 약 70%에 이를 전망이다.
2000/01년 옥수수 수급은 거의 균형을 이룰 것이나,
기말재고량은 전년보다 약간 줄어든 1억 2,765만 톤으로 전망된다. 미국, 유럽, 아르헨티나의
기말재고량은 늘어나지만 중국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어서, 기말재고율도 전년보다
약간 내려간 21.0%가 될 전망이다.
표 4 국제 옥수수 수급 동향 및 전망
단위 : 백만톤
1998/99
1999/00
(추정)
2000/01 (전망)
변동율(%)
2000. 8
2000. 9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605.51
605.33
612.97
607.17
0.3
△ 0.9
소 비 량
580.42
600.61
607.95
607.42
1.1
△ 0.1
교 역 량
75.51
80.27
78.22
78.96
△ 1.6
0.9
기말재고량
123.18
127.90
133.05
127.65
△ 0.2
△ 4.1
재고율(%)
21.2
21.3
21.9
21.0
자료: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66, 2000. 9.

2. 두류 수급 동향 및 전망
2.1. 대두
세계 대두 생산량은 2000/01년에 사상최대인 1억
6,657만 톤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대두의 주요 생산국인 중국,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의 생산량 증가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대두 소비량은 전년보다 2.7% 늘어난
1억 6,477만 톤으로 전망되어 생산량이 소비량을 180만 톤 정도 초과할 전망이다.
2000/01년 세계 대두 교역량은 전년보다 2.4% 감소한
4,534만 톤으로 전망되고,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교역량의 비중은 27.2%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 수출량에서 미국이 60.0%, 브라질이 20.7%, 아르헨티나가 9.3%의
비중을 차지하여 이들 세 국가의 수출비중이 약 90.0%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00/01년 대두의 기말 재고량은 2,529만 톤으로
전망되어 전년의 2,341만 톤과 비교하여 188만 톤 정도 늘어나고 기말재고율도 15.3%로
올라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특히 미국의 기말재고량이 전년 대비 37.9%나 늘어나고
아르헨티나, 브라질의 기말재고율도 올라갈 전망이기 때문이다.
표 5 국제 대두 수급 동향 및 전망
단위 : 백만톤
1998/99
1999/00
(추정)
2000/01 (전망)
변동율(%)
2000. 8
2000. 9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159.84
156.33
168.08
166.57
6.6
△ 1.5
소 비 량
159.52
160.39
164.71
164.77
2.7
0.0
교 역 량
38.63
46.47
45.61
45.34
△ 2.4
△ 0.6
기말재고량
27.15
23.41
28.02
25.29
8.0
△ 9.7
재고율(%)
17.0
14.6
17.0
15.3
자료 : 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66, 2000. 9

2.2. 대두박
세계 콩깻묵 생산량 역시 2000/01년에 사상최대인
1억 1,16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대두의 주요 생산국인 중국,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에서 콩깻묵 생산량 증가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콩깻묵 소비량은 전년보다 2.6% 늘어난 1억 1,210만
톤으로 전망되어 소비량이 생산량을 약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0/01년 세계
콩깻묵 교역량은 전년보다 1.8% 늘어난 3,922만 톤으로 전망되고,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교역량의 비중은 35.1%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00/01년 콩깻묵의 기말 재고량은 405만 톤으로
추정되어 전년의 430만 톤과 비교하여 25만 톤 정도 줄어들기 때문에 기말재고율도
3.6%로 내려갈 전망이다.
표 6 국제 콩깻묵 수급 동향
단위 : 백만톤
구 분
1998/99
1999/00
(추정)
2000/01 (전망)
변동률 (%)
2000.8
2000.9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107.59
108.64
111.60
111.60
2.7
0.0
소 비 량
107.01
109.25
112.10
112.10
2.6
0.0
교 역 량
39.06
38.51
39.22
39.22
1.8
0.0
기말재고량
4.53
4.30
4.05
4.05
△ 5.8
0.0
재고율(%)
4.2
3.9
3.6
3.6
자료: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66, 2000. 9

2.3. 대두유
2000/01년 세계 대두유 생산량은 전년 대비 2.9%
늘어난 2,549만 톤, 소비량은 전년 대비 5.4% 늘어난 2,578만 톤으로 전망되어 소비량이
생산량을 약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2000/01년 세계 대두유 교역량은 전년보다 2.6%
늘어난 748만 톤으로 전망되고,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교역량의 비중은 약 29.3%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 수출량에서 미국이 11.0%, 브라질이 16.7%, 아르헨티나가
39.8%, EU가 20.7%의 비중을 차지하여 이 국가들의 수출비중이 88.2%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00/01년 대두유의 기말 재고량은 223만 톤으로
전망되어 전년의 242만 톤과 비교하여 약 20만 톤 정도 줄어들고 기말재고율도 8.7%로
내려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특히 미국을 제외한 주요 생산국의 기말재고율이 내려갈
전망이기 때문이다.
표 7 국제 대두유 수급 동향
단위 : 백만톤
구 분
1998/99
1999/00
(추정)
2000/01 (전망)
변동률 (%)
2000.8
2000.9
전년대비
전월대비
생 산 량
24.64
24.78
25.46
25.49
2.9
0.1
소 비 량
24.54
24.45
25.51
25.78
5.4
1.1
교 역 량
8.07
7.29
7.58
7.48
2.6
△ 1.3
기말재고량
2.26
2.42
2.16
2.23
△ 7.9
3.2
재고율(%)
9.2
9.9
8.5
8.7
자료:USDA, World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Estimates, WASDE-366, 2000. 9
자료:http://www.usda.gov에서
(성명환 mhsung@krei.re.kr 농산업경제연구부)
발행처
KREI
발간물 유형
KREI 논문
보고서 번호
WRD-00008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252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