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일본의 월간 채소산업 정보(2001. 4)

저자
김상현
출판년도
2001-05-16
목차
1. 채소의 가격과
생산동향
1.1. 전체
최근 채소의 가격은
일조부족, 한파, 적설 등의 영향으로 입하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1, 2월은 상당히 상승하였다. 3월 이후는 적당한 기후조건과 기온상승이
계속되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출하가 빨라져, 4월에 접어들어 채소가격은 전반적으로는 평년을 하회하는 수준이다.
1.2. 엽경채소
배추, 양배추, 양상추는
일조부족으로 초기생육이 저하되어 크기가 적은 경향이 있으며, 시금치는 주산지인 북관동지방이 적설 등의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평년을 상당히 상회하는
수준이었지만, 3월에는 안정을 되찾았다. 최근은 평년수준 또는 평년을 하회하는 가격 수준이다. 한편, 파는 수입증가의 영향으로 평년을
대폭 하회하는 가격 수준이다.
1.3. 과채류
오이, 가지, 피망은
연초까지 평년을 상회하는 가격 수준이었지만, 4월에 접어들어 입하량이 증가하여 평년을 하회하는 가격 수준이 되고 있다. 토마토는
평년수준이다.
2. 신선채소의
수입동향
2000년 신선채소의
수입량은 92만 6,000톤으로 과거 5년간 약 1.5배 증가하였다.
2001년 1∼3월의
신선채소 수입량은 31만 5,000톤으로 전년동기대비 110%이며, 2001년 3월에는 수입량이 감소하여 11만 6,000톤으로 전년동기대비
93%이다.
3. 식물검역 상황
최근 주요 신선채소 주요국의
수입식물검사실적 속보를 발표하였다(관련 내용 원문파일 참조).
4. 채소 소비
1999년 국민영양조사
결과 속보가 공표되었다. 채소관련 사항을 발췌한 것은 다음 표와 같다. 채소의 종류별 섭취량은 1998년에 비해「녹황색채소」와 「기타 채소」모두
증가하고 있다.
또, 연령계층별 섭취량을
보면, 1999년은 1998년에 비해 모든 계층에서 증가하고 있다.
표1채소의 종류별
섭취량(g/국민1인 1일당)
1990
1994
1998
1999
녹황색채소
기타채소
채소계
서류
77.2
173.1
250.3
65.3
81.8
171.7
253.5
62.2
87.9
186.7
274.6
71.5
94.2
196.1
290.3
67.7
합계
315.6
315.7
346.1
358.0
표2채소의 연령별
섭취량(g/국민1인 1인당)
15∼19
20∼29
30∼39
40∼49
50∼59
60∼69
70세이상
1995
1998
1999
259.3
236.1
248.9
260.5
242.5
258.0
278.6
254.8
263.9
303.3
271.0
292.2
332.8
304.3
322.4
327.8
302.9
328.1
284.4
280.6
291.9
주:녹황색채소와 기타채소의
합계치
5. 채소의 표준성분
1999년말「일본식품표준성분표」의 5차 개정판이 공표되었다. 1982년에 4차 개정판이 공표되었고, 그 후
6차례에 걸친 조사 실시와 결과 공표가 있었지만 식품의 다양화, 식품의 생산ㆍ유통의 변화 등을 바탕으로 최근 조사ㆍ분석데이터에 근거하여 전면
개정된 것이다.
이번의 5차 개정판에서는
성분항목, 품목에 추가가 있었다. 즉 성분항목은 葉酸, 판토텐산 등이 추가되었고, 또 품목은 방울토마토, 상추, 즈키니 등이 추가되었다.
그리고, 수입냉동식품의 품목, 순이 있는 식품에서 계절에 따라 성분이 명확하게 차이를 보이는 것(채소는 시금치 만)의 성분치가 추가되었다. 하기
표의 수치는 모두 可食部 100g당 성분이다.
자료: http://www.maff.go.jp/work/010410begetable/4gatu/mokuji.htm에서
(김상현 ksh3615@krei.re.kr 국제농업연구실)
발행처
KREI
발간물 유형
KREI 논문
보고서 번호
WRD-00147
URI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17391
Appears in Collections:
정기간행물 > 세계농업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 mendeley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