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태곤 | - |
dc.date.accessioned | 2018-11-15T09:54:01Z | - |
dc.date.available | 2018-11-15T09:54:01Z | - |
dc.date.issued | 2014-08-14 | - |
dc.identifier.other | E03-2014-8-03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0858 | - |
dc.description.abstract | 최근 일본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현상을 적극적으로 평가하여 성장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한 규제완화와 구조개혁을 단행하는 등 공격적인 정책으로 전환하고 있다. 일본은 TPP 와 FTA에 의한 시장개방 확대에 대응하면서 농업과 농촌을 국가 활력의 원천이 될 수 있도록 농식품에 대한 새로운 수요개발, 소비와 공급을 연결하는 가치사슬 구축, 농업이 가지는 다원적 기능 발휘, 그리고 생산현장에서의 구조개혁 촉진 등 전 방위에 걸쳐 공격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일본의 농정개혁의 전개와 주요내용, 배경, 추진방식과 특징 등에 대해 정리한다. 이에 근거하여 농산물 수입국으로서의 한국 농업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머리말 2. 농정의 전개 과정 2.1. 시장 개방에 대응 2.2. 농정추진방식 전환 2.3. 자급률 목표설정과 달성방법 2.4. 농업의 성장산업화 3. 농정개혁의 배경 3.1. 농업의 축소산업화 3.2. 자급률 하락 3.3. 쌀 과잉과 논 농업 정체 3.4. 농업경영구조의 변화 4. 특징과 시사점 | - |
dc.publishe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 |
dc.title | 일본 농정개혁 배경과 특징 | - |
dc.type | KREI 논문 | - |
dc.citation.endPage | 87 | - |
dc.citation.startPage | 71 | -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page. 71 - 87 | - |
일본 농정개혁 배경과 특징.pdf
결과 데이터 / 310.15 kB / application/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