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농업·농촌의 미래상을 놓고 다양한 의견이 개진되고 있다. 한편에서는 스마트팜이나 정밀농업 등 고도화된 농업이 미래성장동력이라고 주장하고 있고, 다른 한편에서는 성장 중심에서 환경·생태·사회까지 고려한 지속가능한 농정을 강조한다. 농업 및 농촌 인구 과소화와 고령화를 우려하는 목소리와 농촌 재생의 가능성에 힘을 싣는 목소리도 함께 들을 수 있다. 각각의 주장이 일리를 지니고 있고, 이러한 문제 의식은 결국 농업구조 변화라는 주제 속에 스며 있다.
더욱이 최근 기후 위기와 코로나19(COVID-19)라는 유례없는 사태까지 맞고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농업구조 상(像)을 상정하고, 이에 맞추어 현재 농업구조를 어떻게 전환시킬지 집단 지성을 모을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 의식과 목적을 가지고 2년 동안 추진되었다. 1년차 연구에서는 농업구조 변화 경향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년차 연구에서는 앞으로 지향해야 할 농업구조 변화 방향과 추세를 따라갔을 때 예상되는 모습을 각각 도출하고 비교하였다. 이상적인 모습과 예상되는 상황 간 차이를 야기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농업구조 관련 정책이 이러한 격차를 좁히는 데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는지, 그리고 해결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를 진단하였다. 이상 논의를 종합하여 농업구조 전환의 방향과 대응과제를 제안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Korean agriculture has undergone slow growth and challenges at home and abroad since the 1990s. Amid the further increasing agricultural market opening, local produce consumption is likely to go down and the public calls for stable food supply and agriculture’s diverse roles and functions(multifunctionality). Rural communities are in difficulties amid the stagnant growth in farm households’ income. Besides, the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are aggravating the rural situation.
Those issues are related to whether the agricultural policy the nation has pursued, focusing on competitiveness and efficiency, is still relevant in the future or what directions it should go.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prepare solutions. At the same time we need to review the current state to react efficiently to structural transformations in the agricultural sector.
Therefore, we need to explore what has caused the transformations and how they impacted the nation in macroeconomic (the agricultural sector) and microeconomic (farm households) perspectives. Also, it is necessary to see what outcomes the government gained from various programs it applied and what challenges it still faces. Through thorough discussions on all these challenges and results, it will be possible to suggest directions that Korean agriculture will move forward.
Research Methodology
For this research, we used a literature review, surveys, statistical analysis, and quantitative analysis. We caught a big picture of the agricultural transformations and evaluated the policies related to the agricultural structure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Our surveys asked desirable agricultural models, vital impacts, and countermeasures to farmers, policymakers, and experts. Based on the survey result, we devised a desirable agricultural model. Quantitative analysis was used for drawing agricultural outlooks. We predicted what the agricultural structure would look like if the current trend goes on. We also saw the difference between it and the desired model, and tried to identify the reason for the gap.
(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Researchers: Rhew Chanhee, Kim Taehun, Kim Taehoo, Ha Inhye
Research period: 2020. 1. ~ 2020. 12.
E-mail address: chrhew@krei.re.kr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농업구조 변화의 지향점
제3장 농업 경영체 대응 실태와 전망
제4장 농업구조 관련 주요 정책군 성과와 과제
제5장 농업구조 전환과 대응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