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귀농·귀촌 동향과 시사점

저자
송미령성주인심재헌한이철민경찬
출판년도
2021-10-01
초록
귀농·귀촌 인구는 2020년에 49만 4,569명으로 전년 대비 7.4% 증가• 귀농 가구원은 1만 7,447명으로 전년보다 1,266명(7.8%), 귀촌 가구원은 47만 7,122명으로 전년보다 3만 2,658명(7.3%) 증가함.• 1인 귀농·귀촌 가구가 증가하면서 평균 귀농 가구원 수는 1.40명으로 전년보다 0.02명 줄었고, 귀촌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도 1.38명으로 전년 대비 0.02명 감소함. 코로나19 팬데믹과 수도권 및 광역시의 주택가격 급등 등 사회·경제적 충격과 농촌 생활에 관한 관심과 선호 증가로 농촌지역의 순유입자 증가•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가 본격화되어 60대 귀농·귀촌인이 증가하였고,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지원사업 등의 영향으로 30대 이하의 귀농 가구도 증가함.• 전통적인 농업지역을 중심으로 귀농인 수는 많았지만, 증가율 측면에서 보면 광역시 및 경기도권 시·군, 지역 거점도시나 혁신도시 및 신도시 개발지역 주변 시·군의 귀농인 수가 증가함.• 코로나19 이후 귀농·귀촌 의향이 증가했고, 2019년 말부터 급등하기 시작한 주택가격이 도시지역의 압출 요인으로 작용해 농촌으로의 이주를 가속한 것으로 판단됨. 특히, 2020년 1~2월, 5~7월에는 읍 지역으로의 귀촌보다 면 지역으로의 귀촌이 더 많은 특이 현상이 발생함. • 최근 귀촌 사유를 보면 주택, 가족과 관련된 비율이 낮아지고, 직업, 건강, 교육 등의 비율이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고, 귀촌 목적지에 주목할 때 정주 여건의 편리성 이외에도 쾌적한 환경 등을 갖춘 곳을 중심으로 귀촌 증가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임.지속적인 귀농·귀촌 기반 유지 및 관계인구 확대를 위해서는 농촌다운 가치를 보전하고 활용하는 시책 마련이 필요• 귀농·귀촌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청년 영농정착 지원사업 등의 지속과 더불어 농업 일자리 및 농촌 생활 체험 프로그램 확대, 귀농 현장 학습과 멘토링 체계화, 농지 및 영농자금 이용의 편의성 촉진 등을 고려할 수 있음. 살아보기 체험 주택 확대와 빈집 등 연계 혹은 신축을 통한 임대형 주택 등의 제공도 요구됨.• 귀농·귀촌 온·오프라인 플랫폼 구축 및 귀농·귀촌 관련 정책 홍보 강화도 필요함.• 귀농·귀촌을 포함해 관계인구 확대를 위한 보다 폭넓은 대응이 요구됨. 지속적으로 귀농·귀촌 기반을 유지하고 관계인구를 포용하기 위해서는 삶과 일의 새로운 공간으로서 농촌의 여건을 보다 살기 좋은 곳으로 조성해야 함.
목차
1. 도농 간 인구이동 현황2. 2020 귀농·귀촌 동향 3. 귀농·귀촌 목적지 특성 분석4. 시사점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발간물 유형
KREI 이슈리포트
URI
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7191
Appears in Collections:
이슈페이퍼 > 농정포커스 (J)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Files in This Item:
PRN200.pdf (731.51 k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