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3/5차년도)

영문 제목
A Study on Establishing a Long-term Roadmap for Agricultural Integr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Year 3 of 5)
저자
최용호김영훈박미선이슬아김영준권태진이찬호
출판년도
2022-12-30
초록
현재 한반도에는 군사적 긴장 수위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북한은 연일 미사일 발사와 포격을 감행하고 있고 더욱이 제7차 핵실험의 징후까지 있어 군사적 긴장 상황은 매우 엄중하다. 한편 북한은 고강도 대북제재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국경봉쇄로 상당히 큰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경제침체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북한을 둘러싼 국제관계의 가변성에 따라 북한의 태도 변화가 나타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다. 오히려 이렇듯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에 다가갈수록 역설적으로 남북관계가 급반전할 가능성 또한 올라갈 수 있는 것이다. 과거 2017년 말과 2018년 사이에 그러했듯이 극적인 반전이 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관련한 상황 변화를 예의주시하면서 북한과 대화와 교류협력 재개의 모멘텀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 시기적으로는 지금 시점을 남북교류협력의 본격화에 대비하여 사전적으로 문제점을 예측하고 남북교류협력의 효과성과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기간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이 연구는 경색된 남북관계의 현재 상황부터 경제공동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축이 될 농업부문의 남북통합 로드맵을 구상하고 있다. 2020년 1차년도 연구에서는 남북 경제통합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이에 상응하는 농업부문의 통합 시나리오, 추진 방향과 과제를 살펴보았다. 작년 2차년도 연구에서는 1차년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첫 번째 통합단계이자 현재 상황인 대북제재 유지국면에서의 농업부문 통합과제와 실천방안을 모색하였다. 2차년도 연구대상인 대북제재 유지국면에 이어 올해 3차년도 연구에서는 대북제재가 완화하는 국면에서의 농업부문 통합과제와 정책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Since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dopted the Inter-Korean Basic Agreement in 1991, they have had the ultimate goal of achieving unification through peaceful coexistence and common prosperity. In order to approach the common goal of unification set between the two Koreas, a process of forming a community and a market is required, starting with exchange and cooperation at a low level and going through sophistication. Currently, even the most basic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such as food assistance, cannot be implemented due to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obstacles. Nevertheless, the possibility of a change in North Korea’s attitude cannot be ruled out as the variability of international relations surrounding the nation is high and North Korea’s economic difficulties are deepening. In terms of timing, it is necessary to use this time as a time to predict problems in preparation for full-scale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to secure the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of the exchange and cooperation.○In reality,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to the process of resuming and expanding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economic sector. The heterogeneity of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the US-China conflict, the recent COVID-19 pandemic, and Russia’s invasion of Ukraine are all intertwined with very multifaceted and complex issues. At the center of these ar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South Korea, has responded by imposed sanctions on the North Korean economy and increased their intensity, responding to the advancement of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ies. Here, the interest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re acting as the most decisive factor. Therefore, North Korea’s external economic relations will depend on the level of economic sanctions relief following the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For more information, please refer to the report.)
목차
제1장 서론제2장 대북제재 완화 시나리오제3장 남북한 정책 방향과 당면과제제4장 농업부문 남북경제협력 구상제5장 농업부문 남북경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제6장 요약 및 결론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과제명
평화시대 한반도 농업통합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5의3차년도)
발간물 유형
KREI 보고서
URI
https://repository.krei.re.kr/handle/2018.oak/29679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연구보고 (R)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Files in This Item:
R967.pdf (2.63 MB) Download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